[4월2일재보궐선거]부산 연제구 내 투표소 찾기 (+후보자개표결과,투표율)
2025년 4월 2일, 전국 일부 지역에서 재보궐선거(재선거 및 보궐선거)가 치러집니다.
이전 사전투표를 하지 못하신 분들은 내 지정된 투표소를 꼭 확인하시고 4월 2일 본 투표에 소중한 한표 행사하시길 바랍니다. 이 글에서는 2025 재보궐선거의 일정, 지역, 후보자, 투표 방법까지 지금 확인해보세요.
📌 재보궐선거란 무엇인가요?
재보궐선거는 두 가지 경우를 포함합니다
- 재선거: 선거 무효 등으로 다시 치르는 선거
- 보궐선거: 당선된 사람이 사망·사퇴 등으로 직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 새로 선출하는 선거
즉, 공석이 된 자리를 채우기 위한 선거로, 정치 지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
🗓️ 2025년 재보궐선거 주요 일정
구분 | 일정 |
선거일 | 2025년 4월 2일 (수요일) |
후보자 등록 | 3월 13일 ~ 14일 |
사전투표 | 3월 28일 ~ 29일 (금~토) |
선거운동 기간 | 3월 20일 ~ 4월 1일 |
개표 | 4월 2일 오후 8시 이후 |
❗ 선거일은 공휴일이 아니며, 해당 지역 주민만 투표 가능합니다.
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에서 실시간 개표상황, 투표결과 등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
개표상황은 투표가 마감되는 4월 2일 오후 8시 이후부터 확인이 가능합니다.
📍 이번 재보궐선거가 열리는 지역은?
선거 유형 | 지역 (시도 / 시·군·구) |
교육감 선거 (1곳) | 부산광역시 |
기초단체장 선거 (5곳) | 서울특별시 구로구 충청남도 아산시 전라남도 담양군 경상북도 김천시 경상남도 거제시 |
광역의원 선거 (8곳) | 대구광역시 달서구 인천광역시 강화군 대전광역시 유성구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경기도 군포시 충청남도 당진시 경상북도 성주군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|
기초의원 선거 (9곳) | 서울특별시 중랑구, 서초구, 동작구 인천광역시 강화군 전라남도 광양시, 담양군, 고흥군 경상북도 고령군 경상남도 양산시 |
👉 정확한 지역 확인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 '내 투표소 찾기' 서비스에서 가능합니다. 빠른 투표소 찾기를 원하시는 분은 아래 내 투표소 찾기를 통해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본투표는 지정된 내 투표소에서만 할 수 있습니다.
🧑💼 주요 후보자 및 정당 구도
2025 재보궐선거에 출마한 주요 정당은 국민의힘, 더불어민주당, 그리고 지역 기반 무소속 후보입니다.
각 정당은 정권 안정론 vs 정권 견제론을 내세우며 전략 공천과 지역 민심 확보에 주력하고 있습니다.
후보별 정책과 공약을 비교해 현실적인 선택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🟠 [04.02]부산 연제구 투표소 안내 🟠
04월 02일에 실시되는 본투표의 투표소는 이전 사전투표소와는 다르니, 미리 확인하시길 바랍니다.
✅ 거제제1동
거제제1동제1투 | 연제구 보훈회관(3층, 다목적홀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명륜로2번길 9 (거제동) |
거제제1동제2투 | 거제동롯데캐슬아파트 관리동(1층, 경로당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세병로 44 (거제동, 거제동 롯데캐슬아파트) |
거제제1동제3투 | 책과 아이들(1층, 구름빵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교대로16번길 20 (거제동) |
거제제1동제4투 | 부산지방우정청(1층, 홍보관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법원북로 33 (거제동) |
거제제1동제5투 | 남문초등학교(1층, 1-3반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법원북로 23 (거제동) |
거제제1동제6투 | 거제1동 행정복지센터(거제1동주민센터, 3층, 다목적실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법원북로 88 (거제동) |
거제제1동제7투 | 거제동월드메르디앙아파트 108동 (지하1층, 탁구장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천로 233 (거제동, 거제동월드메르디앙아파트) |
✅ 거제제2동
거제제2동제1투 | 거제2동 행정복지센터(거제2동주민센터, 3층, 다목적홀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아시아드대로22번길 19 (거제동) |
거제제2동제2투 | 창신초등학교(1층, 현관로비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종합운동장로12번길 15 (거제동) |
거제제2동제3투 | 거제종합사회복지관(3층, 세미나실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아시아드대로46번길 45 (거제동) |
거제제2동제4투 | 거제아시아드삼정그린코아아파트 관리사무소(1층, 경로당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월드컵대로 325 (거제동, 거제삼정그린코아) |
거제제2동제5투 | 레이카운티아파트 106동 인근 1단지 커뮤니티센터(P1층, 입주민카페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아시아드대로 39 (거제동) |
거제제2동제6투 | 레이카운티아파트 2단지 커뮤니티센터(2층, 입주민카페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아시아드대로 39 (거제동) |
✅ 거제제3동
거제제3동제1투 | 연제구 육아종합지원센터(4층, 다목적강당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대로124번길 22 (거제동) |
거제제3동제2투 | 거제3동 행정복지센터(거제3동주민센터, 1층, 평생학습실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대로 180 (거제동) |
거제제3동제3투 | 나라키움 부산통합청사 행정동(2층, 대강당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대로 222 (거제동) |
✅ 거제제4동
거제제4동제1투 | 거제4동 행정복지센터(거제4동주민센터, 4층, 다목적강당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화지로52번길 33 (거제동) |
거제제4동제2투 | 거성중학교(1층, 학부모회실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해맞이로109번길 61 (거제동) |
거제제4동제3투 | 거제건강생활지원센터(3층, 다목적실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해맞이로 53 (거제동) |
✅ 연산제1동
연산제1동제1투 | 연산1동 행정복지센터(연산1동주민센터, 3층, 회의실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동로8번길 66 (연산동) |
연산제1동제2투 | 연서초등학교(1층, 강당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천로270번길 30 (연산동) |
연산제1동제3투 | 연산중학교(1층, 학부모실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고분로56번길 39 (연산동) |
연산제1동제4투 | 연산자이아파트(1층, 입주자대표회의실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과정로343번길 43 (연산동, 연산 자이) |
✅ 연산제2동
연산제2동제1투 | 연산2동 행정복지센터(연산2동주민센터, 2층, 제1강의실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1038번길 39 (연산동) |
연산제2동제2투 | 시청역비스타동원아파트 104동(지하1층, 브런치카페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제로 30 (연산동, 시청역 비스타 동원) |
연산제2동제3투 | 연제구청(2층, 대회의실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제로 2 (연산동) |
연산제2동제4투 | 연제도서관(지하1층, 다목적홀 앞 로비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황령산로 612 (연산동, 연제도서관) |
연산제2동제5투 | 연제롯데캐슬데시앙아파트 106동옆 커뮤니티센터(1층, 키즈 북카페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월드컵대로 55 (연산동, 연제롯데캐슬&데시앙) |
✅ 연산제3동
연산제3동제1투 | 섬강스위트빌(1층, 주차장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금련로 27 (연산동) |
연산제3동제2투 | 연산3동행정복지센터(4층, 대회의실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수로208번길 16 (연산동) |
연산제3동제3투 | 연산종합사회복지관(5층, 강당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봉수로 17 (연산동) |
✅ 연산제4동
연산제4동제1투 | 부산광역시 노인종합복지관(5층, 대강당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천로230번길 18 (연산동) |
연산제4동제2투 | 연산4동 행정복지센터(연산4동주민센터, 2층, 회의실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쌍미천로151번길 42 (연산동) |
연산제4동제3투 | 연산로터리 새마을금고(4층, 대강당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쌍미천로141번길 22 (연산동) |
연산제4동제4투 | 한일태권도(1층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쌍미천로 106 (연산동) |
연산제4동제5투 | 연산SK뷰아파트 1단지 101동(1층, 노인정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1124번길 15 (연산동, 연산동 에스케이 뷰) |
✅ 연산제5동
연산제5동제1투 | 연산5동 행정복지센터(2층, 평생학습실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천로124번길 15 (연산동) |
연산제5동제2투 | 연제초등학교(2층, 다목적강당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1065번길 14 (연산동) |
연산제5동제3투 | 도시철도 연산역(지하1층, 대합실 공연장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 1101 (연산동) |
연산제5동제4투 | 부산시청(1층, 내빈실3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 1001 (연산동) |
✅ 연산제6동
연산제6동제1투 | (구)새화랑체육관(1층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대리로6번길 115-1 (연산동) |
연산제6동제2투 | 부산연산동우체국(1층, 주차장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수로 197 (연산동) |
연산제6동제3투 | 연산6동 행정복지센터(연산6동주민센터, 4층, 프로그램실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쌍미천로52번길 2 (연산동) |
연산제6동제4투 | 송원빌라(1층, 주차장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수로148번길 91 (연산동, 송원빌라) |
연산제6동제5투 | 연산더샵아파트(2층, 스터디룸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수로 130 (연산동, 연산더샵) |
✅ 연산제8동
연산제8동제1투 | 이불마을 치유센터(1층, 연산8동 마을건강센터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과정로291번길 17 (연산동) |
연산제8동제2투 | 연일초등학교(1층, 강당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고분로 126-4 (연산동) |
연산제8동제3투 | 연산8동경로회관(1층, 연천부녀경로당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안연로7번가길 21 (연산동) |
연산제8동제4투 | 더샵 파크시티아파트 104동(1층, 작은도서관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안연로 33 (연산동, 더샵 파크시티) |
✅ 연산제9동
연산제9동제1투 | 한양아파트 (구)할머니경로당(1층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온천천남로 110 (연산동, 한양아파트) |
연산제9동제2투 | 부산광역시립연산도서관(1층, 문화강좌실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고분로191번길 16 (연산동) |
연산제9동제3투 | 연제구노인복지관(3층, 대강당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고분로 188 (연산동) |
연산제9동제4투 | NK스크린골프 (3층, 실내연습장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토곡로 11 (연산동) |
연산제9동제5투 | 연산9동 행정복지센터(연산9동주민센터, 3층, 대회의실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과정로164번길 38 (연산동) |
연산제9동제6투 | 토현중학교(1층, 남학생신발장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토현로 47 (연산동) |
연산제9동제7투 | 망미주공아파트(1층, 경로당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토현로 10 (연산동, 주공아파트) |
연산제9동제8투 | 선경아파트 103동(1층, 주차장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과정로 74 (연산동, 선경아파트) |
연산제9동제9투 | 센텀수영강푸르지오아파트(1층, 경로당) | 부산광역시 연제구 고분로 270 (연산동, 센텀수영강푸르지오아파트) |
🗳️ 투표는 어떻게 하나요?
✅ 본투표 (4/2)
- 주소지 관할 투표소에서만 가능
- 오전 6시 ~ 오후 8시까지
- 반드시 신분증(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, 여권 등) 지참
- ⚠️ 투표는 반드시 한 사람당 1표! 투표용지 훼손 시 무효 처리되니 주의하세요.
🧭 왜 이번 재보선이 중요한가요?
2025 재보선은 단순한 '자리 채움'이 아닙니다.
차기 총선과 대선의 향방을 가늠할 수 있는 '미니 총선' 성격을 지니고 있죠.
● 정당 지지율 변화
● 중도층 민심 흐름
● 수도권과 지방 민심 분포 파악
정치권에서는 이 결과에 따라 당대표 교체, 정계 개편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습니다.
🎯 유권자가 꼭 알아야 할 체크리스트
- ☑️ 내가 거주하는 지역이 해당되는지 확인
- ☑️ 사전투표 또는 본투표 중 언제 참여할지 계획
- ☑️ 후보자 정책과 공약 꼼꼼히 비교
- ☑️ 신분증 챙기기
- ☑️ 투표소 위치 미리 확인
👉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에서 모든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요!
사전투표현황, 투표율, 후보자정보 등 선거에 관한 모든 실시간 정보 확인이 가능합니다.
자주 묻는 질문 (FAQs)
선거일이 공휴일인가요?
2025년 4월 2일은 법정 공휴일이 아닙니다.
다만, 선거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직장에서는 투표 시간 보장을 해야 하며, 거부 시 불이익 소지가 있습니다.
내가 사는 지역이 선거 대상인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?
중앙선거관리위원회 또는 '내 투표소 찾기' 서비스를 통해 주민등록 주소지 기준 해당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3월 중순 이후 구체적인 지역과 후보자 명단이 확정됩니다.
사전투표와 본투표 중 어떤 게 더 좋나요?
둘 다 동등하게 유효한 투표입니다.
단, 사전투표는 전국 어디서든 가능해 더 유연하며, 직장인이나 여행 중인 사람에게 유리합니다.
신분증을 깜빡하면 투표 못 하나요?
네, **신분증(실물)**이 없으면 투표가 불가능합니다.
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, 여권, 모바일운전면허증 등 본인 확인 가능한 공적 신분증을 반드시 지참하세요.
✅ 결론: 한 표의 힘, 지금부터 준비하세요!
재보궐선거는 참여율이 낮을수록 조직표가 강한 후보가 유리합니다.
그러므로 내 한 표가 당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.
정책을 중심으로 후보를 꼼꼼히 살펴보고,
2025년 4월 2일에는 꼭 투표소를 찾아주세요.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