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4월2일재보궐선거] 당진시 내 투표소 찾기 (+후보자개표결과,투표율)
2025년 4월 2일, 전국 일부 지역에서 재보궐선거(재선거 및 보궐선거)가 치러집니다.
이전 사전투표를 하지 못하신 분들은 내 지정된 투표소를 꼭 확인하시고 4월 2일 본 투표에 소중한 한표 행사하시길 바랍니다. 이 글에서는 2025 재보궐선거의 일정, 지역, 후보자, 투표 방법까지 지금 확인해보세요.
📌 재보궐선거란 무엇인가요?
재보궐선거는 두 가지 경우를 포함합니다
- 재선거: 선거 무효 등으로 다시 치르는 선거
- 보궐선거: 당선된 사람이 사망·사퇴 등으로 직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 새로 선출하는 선거
즉, 공석이 된 자리를 채우기 위한 선거로, 정치 지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
🗓️ 2025년 재보궐선거 주요 일정
구분 | 일정 |
선거일 | 2025년 4월 2일 (수요일) |
후보자 등록 | 3월 13일 ~ 14일 |
사전투표 | 3월 28일 ~ 29일 (금~토) |
선거운동 기간 | 3월 20일 ~ 4월 1일 |
개표 | 4월 2일 오후 8시 이후 |
❗ 선거일은 공휴일이 아니며, 해당 지역 주민만 투표 가능합니다.
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에서 실시간 개표상황, 투표결과 등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
개표상황은 투표가 마감되는 4월 2일 오후 8시 이후부터 확인이 가능합니다.
📍 이번 재보궐선거가 열리는 지역은?
선거 유형 | 지역 (시도 / 시·군·구) |
교육감 선거 (1곳) | 부산광역시 |
기초단체장 선거 (5곳) | 서울특별시 구로구 충청남도 아산시 전라남도 담양군 경상북도 김천시 경상남도 거제시 |
광역의원 선거 (8곳) | 대구광역시 달서구 인천광역시 강화군 대전광역시 유성구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경기도 군포시 충청남도 당진시 경상북도 성주군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|
기초의원 선거 (9곳) | 서울특별시 중랑구, 서초구, 동작구 인천광역시 강화군 전라남도 광양시, 담양군, 고흥군 경상북도 고령군 경상남도 양산시 |
👉 정확한 지역 확인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 '내 투표소 찾기' 서비스에서 가능합니다. 빠른 투표소 찾기를 원하시는 분은 아래 내 투표소 찾기를 통해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본투표는 지정된 내 투표소에서만 할 수 있습니다.
🧑💼 주요 후보자 및 정당 구도
2025 재보궐선거에 출마한 주요 정당은 국민의힘, 더불어민주당, 그리고 지역 기반 무소속 후보입니다.
각 정당은 정권 안정론 vs 정권 견제론을 내세우며 전략 공천과 지역 민심 확보에 주력하고 있습니다.
후보별 정책과 공약을 비교해 현실적인 선택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🟠 [04.02]충청남도 당진시 투표소 안내 🟠
04월 02일에 실시되는 본투표의 투표소는 이전 사전투표소와는 다르니, 미리 확인하시길 바랍니다.
🗳️ 송악읍 (당진시)
송악읍 제1투표구 | 기지초등학교 (2층, 유닛드림마당) |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|
송악읍 제2투표구 | 합덕2리 마을회관 (1층) |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|
송악읍 제3투표구 | 송악사회복지관 (2층, 프로그램5·6실) |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|
송악읍 제4투표구 | 산록초등학교 (1층, 해솔구) |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|
송악읍 제5투표구 | 송악문화스포츠센터 (2층, 다목적체육관) |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830 |
송악읍 제6투표구 | 행운3리 마을회관 (3층, 회의실) | 충청남도 당진시 송악읍 신복운로 |
🗳️ 신평면 (당진시)
신평면 제1투표구 | 신평초등학교 (1층, 유류실) | 충청남도 당진시 신평면 |
신평면 제2투표구 | 서정초등학교 (1층, 새봄실) | 충청남도 당진시 신평면 |
신평면 제3투표구 | 남산1리 마을회관 (1층) | 충청남도 당진시 신평면 |
신평면 제4투표구 | 한정초등학교 (1층, 한빛관) | 충청남도 당진시 신평면 172 |
🗳️ 송산면 (당진시)
송산면 제1투표구 | 당산초등학교 (1층, 새몰관) | 충청남도 당진시 송산면 |
송산면 제2투표구 | 송산게이트볼장 (1층) | 충청남도 당진시 송산면 상강길 81-3 |
송산면 제3투표구 | 유곡초등학교 (1층, 유곡동관) | 충청남도 당진시 송산면 송산로 821-17 |
🗳️ 투표는 어떻게 하나요?
✅ 본투표 (4/2)
- 주소지 관할 투표소에서만 가능
- 오전 6시 ~ 오후 8시까지
- 반드시 신분증(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, 여권 등) 지참
- ⚠️ 투표는 반드시 한 사람당 1표! 투표용지 훼손 시 무효 처리되니 주의하세요.
🧭 왜 이번 재보선이 중요한가요?
2025 재보선은 단순한 '자리 채움'이 아닙니다.
차기 총선과 대선의 향방을 가늠할 수 있는 '미니 총선' 성격을 지니고 있죠.
● 정당 지지율 변화
● 중도층 민심 흐름
● 수도권과 지방 민심 분포 파악
정치권에서는 이 결과에 따라 당대표 교체, 정계 개편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습니다.
🎯 유권자가 꼭 알아야 할 체크리스트
- ☑️ 내가 거주하는 지역이 해당되는지 확인
- ☑️ 사전투표 또는 본투표 중 언제 참여할지 계획
- ☑️ 후보자 정책과 공약 꼼꼼히 비교
- ☑️ 신분증 챙기기
- ☑️ 투표소 위치 미리 확인
👉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에서 모든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요!
사전투표현황, 투표율, 후보자정보 등 선거에 관한 모든 실시간 정보 확인이 가능합니다.
자주 묻는 질문 (FAQs)
선거일이 공휴일인가요?
2025년 4월 2일은 법정 공휴일이 아닙니다.
다만, 선거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직장에서는 투표 시간 보장을 해야 하며, 거부 시 불이익 소지가 있습니다.
내가 사는 지역이 선거 대상인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?
중앙선거관리위원회 또는 '내 투표소 찾기' 서비스를 통해 주민등록 주소지 기준 해당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3월 중순 이후 구체적인 지역과 후보자 명단이 확정됩니다.
사전투표와 본투표 중 어떤 게 더 좋나요?
둘 다 동등하게 유효한 투표입니다.
단, 사전투표는 전국 어디서든 가능해 더 유연하며, 직장인이나 여행 중인 사람에게 유리합니다.
신분증을 깜빡하면 투표 못 하나요?
네, **신분증(실물)**이 없으면 투표가 불가능합니다.
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, 여권, 모바일운전면허증 등 본인 확인 가능한 공적 신분증을 반드시 지참하세요.
✅ 결론: 한 표의 힘, 지금부터 준비하세요!
재보궐선거는 참여율이 낮을수록 조직표가 강한 후보가 유리합니다.
그러므로 내 한 표가 당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.
정책을 중심으로 후보를 꼼꼼히 살펴보고,
2025년 4월 2일에는 꼭 투표소를 찾아주세요.
댓글